Print

바꿔치기: 이교도화되는 기독교인들

행성 이름을 딴 이교의 요일 제도가 소위 기독교 국가라고 불리는 나라들의 달력 속에 사용되고 침투되어왔다. 우리가 우리 앞에 있는 달력을 볼 때마다 그 달력들은 종교적 대 배도의 결과로 발생한 이교와 기독교의 혼합을 우리에게 끊임없이 상기시켜준다 – 그 배도는 사도 바울이 “떨어져 나간다”고 예언했던 것으로서, 기독교 교회의 초기 세기들에 발생했으며 그리스도의 이름을 공언하는 종파와 신조들과 상충되는 현대의 바빌론을 만들었다.(1)

불행한 일이지만, 오늘날의 주간 제도가 창조 이래로 중단된 적 없이 연속 순환되어 왔다고 현대 크리스챤들이 가정한다는 것은 이해할 만한 일이다: 서방 세계의 다양한 지역들이 거의 2,000 년 전에 줄리안 달력을 받아들였으며 전 세계가 지난 60 년 동안 그레고리 달력을 사용함에 있어 연합해왔다! 그러나, 사람들이 진리를 모른다고 해서 진리가 바뀌는 것은 아니다; 야후와께서 호세아 4:6 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다: “내 백성이 지식이 부족하므로 망하는도다.” 무엇이 진리인지 찾고 또한 그 지식에 따라 삶을 사는 것이 모든 개인의 의무다.

미트라교의 형태로 기독교가 이교도와 혼합된 과정은 수 백 년에 걸쳐 이루어졌다. 일단 그 과정이 이루어지고 나니, 행성 이름을 딴 현대의 주간 제도가 창조 이후로 변경되지 않고 전해져 내려왔다는 가정 하에서 넷째 계명의 참 안식일이 잃어 버린바 되었다. 새롭게 크리스챤이 되고 나서도 여전히 이교도의 관습들을 고수하는 내용들이 신약 성경에서도 발견되지만, 가장 큰 변화는 날짜 계산 방식에 관한 것에서 기인했다.연속 주간 싸이클 을 갖는 태양력 줄리안 달력은 유대인들과 사도 시대의 기독교인들이 사용했던 태음태양력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다른 방식의 시간 측정법을 사용하는 집단과 사업 관계를 갖는 것은 곤란한 일이다. 일세기 후반 정도로 이른 시기에, 이그나티우스는 “안식일 준수를 대신하여 일요일을 준수하는 운동을 선도했다.”(2)

성경적 날짜 계산법 대신 줄리안 달력에 의해 예배 드리기 시작한 사람들 중 선두에 있던 자들이 로마에 있던 크리스챤들이었다. 이것은 이교도들 사이에 혼돈을 일으켰다. 서기 175-178 년 경, 로마 철학자이자 스토아 학파인 켈수스는 On the True Doctrine: A Discourse Against the Christians.(3) 을 집필했다. 이 글은 기독교를 맹렬히 비난했다. 그의 글이 “[대부분의 이교도의] 비난들을 나타내는 신랄함을 비교적 거의 보여주지 않았지만”(4)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교도를 닮고 있는 기독교인들을 조롱한다. 그의 작품의 결과는 크리스챤을 로마인들과 그 통치자들의 눈에 매우 비판적인 모습으로 비춰지게 했다는 것이다.”(5)

켈수스 작품의 사본이 현재까지 존재하진 않지만, 그 중 많은 부분이 오리겐의 작품 Contra Celsum 에 많이 인용되어 있다. 특별히 한 인용문이 흥미로운데, 왜냐하면 그것이 미트라교와 행성 신들을 언급하고 있기 때문이다.(6) 켈수스가 기독교와 미트라교 사이에서 도출하려고 했던 유사점들을 오리겐이 반박하려고 시도하지 않고, 오히려 단순히 그 비난들을 회피하고자 했음에 주목하는 것 또한 흥미롭다.(7)

일부 기독교인들이 이교식 관습들을 받아들이는 정도는 많은 이교 로마인들을 혼돈스럽게 했다. 초기 기독교 작가, 터툴리안(c. 160-225)은 기독교인들을 옹호하는 글을 썼는데, 그 글은 일부 기독교인들은 일요일에, 어떤 이들은 토요일에 예배 드리게 되는 과정과, 또 다른 이들은 성경적 (태음태양력) 안식일을 고수하고 있는 현상을 밝혀준다. 그의 언급들은 기독교인들이 미트라교도로 오인 받았었음을 분명히 밝혀준다:

분명히 더 교양 있는 어떤 이들은 태양이 기독교인들의 신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우리가 동쪽을 향해 기도하고 태양의 날에 축제를 연다는 것이 알려졌기 때문이다. 당신은 덜 그러한가? 하늘의 천체들을 경배하는 행위로, 당신들 중 대부분이 태양이 뜨는 곳을 향해 당신의 입술을 움직이지 않는가. 당신들은 분명 일곱 날들의 명부로 태양을 받아들이고, 그 날들 중에서 그것을 더 선호한 사람들이다. . . .(8)

기독교인들이 일요일에 예배 드리는 것이 어떻게 이교도들과 혼돈이 되었을지 이해하는 것은 쉽다. 그리스도와 미트라 사이에 주장되는 유사성들은 다음과 같다:

기독교인들 역시 예배를 위해 줄리안 달력을 채택했을 때, 이교도들은 그들 자신의 미트라교와 기독교 사이에 차이점을 거의 볼 수 없었다. 반역죄로 여겨졌던 것, 즉, 기독교인이 황제에게 향을 피우는 것을 거절하는 것 외에는 그러하였다. 터툴리안에 의한 또 다른 인용문은 매우 의미심장하다. 이 글은 기독교인들 사이에 서로 다른 관행들을 보여주는데, 즉 어떤 이들은 일요일에, 다른 이들은 토요일에 예배 드리며 유대인의 관습과 다름을 나타냈던 것이다 (이 때, 사도 시대의 기독교인들은 여전히 성경적 날짜 계산법에 의해 안식일을 지키고 있었다):

우리는 페르시안 [미트라교도] 로 생각될 것이다, 아마도 . . . 내가 가정하기에, 이것에 대한 이유는, 우리가 동쪽을 향해 기도하는 것이 알려졌기 때문이다 . . . 이와 같이, 만일 우리가 태양의 날을 축제 행사로 봉헌한다면 (태양 숭배와는 전혀 다른 이유로), 우리는 토성의 날을 봉헌하는 자들로부터 둘째 자리에 있는 것이다. 토성의 날을 봉헌하는 자들은, 그들이 모르는 유대인 관습에서 그들 역시 스스로 벗어난다.(10)

토요일에 예배 드리는 것 자체가 본래 달력의 일곱째 날에 예배 드리는 유대인 관습으로부터 벗어난 것임을 이 인용문은 단언한다.

이렇게 일부 기독교인들이 이교의 날짜 계산법과 관습들을 수용했다고 해서 그 변화가 다른 기독교인들로부터의 저항 없이 발생했다고 추정하지 말라. 사도들의 가르침을 엄격하게 고수했던 자들과 그들의 제자들, 사도 시대의 기독교인들은 이교의 배도 행위가 에클레시아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보고 매우 속상해했다. 기독교인들에 대한 그러한 편견은 극심했다. 사실, 터툴리안의 작품, Apologeticum 의 주된 취지는 이교도들에 의한 기독교인들의 불합리한 대우에 대항하여 기독교를 옹호하는 것이었다.

WLC의 컨텐츠에서 야후와의 신실한 자들을 언급할 때, 우리가 교회를 사용하지 않고 에클레시아 를 사용하는 이유는 “교회”라는 단어가 본래의 그리스어, “에클레시아”의 의미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신약 성경에서, 에클레시아는 불러냄을 받은 자들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교회”는 그룹을 강조하는 단어로서, 오류가 있는 번역이므로 결코 사용되지 말았어야 합니다. 기독교인들은 문자 그대로 불러냄을 받은 자들입니다. 야후슈아를 진정으로 따르는 자들은 조직화된 종파들과 타락한 바벨론의 종교들로부터 정말로 불러냄을 받은 자들입니다. 바벨론을 떠나라는 외침이 들릴 때, 누구도 다시 바벨론의 교회들과 종교의 형태들로 돌아가서는 안됩니다.

신랄한 위트와 많은 역설들에 재능이 있는 터툴리안은 판사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기독교인들과 일반 범죄자들 사이에서의 일관성 없는 대우를 지적한다.(11)  일반 범죄자는 그가 범죄를시인할 때까지 고통을 받았는데, “기독교인”이라고 공언하는 기독교인들은 그들이 그것을 부인할 때까지 고통을 받았다. 기독교인들이 의식상의 근친상간과 아이들을 먹는 것으로 고발 당하였지만, 그러한 고소들이 결코 입증된 적은 없다. 게다가, (원치 않은 자녀들을 버렸던) 이교도들은 너무도 부도덕하여 만약 그것이 알려지지 않게 발생한다면 그들에게는 근친상간이 불가피했다는 것을 비꼬는 투로 말했다!

과거에 극심한 핍박을 겪은 사람들을 판단하는 일은 오늘날 기독교인들의 일이 아니다. 그러나, 극심한 저항과 순교자들의 피를 통해서만이 이교도 정신이 기독교 안으로 침투되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성경적 안식일에 충실함으로 인해 핍박 받음신성의 황제에게 존경하며 한 자밤의 향을 떨어트리기를 거절하는 자들은 불 타는 석탄과 섞인 한 줌의 향을 잡도록 종종 강요 당했을 것이다. 만약 그 불 타는 혼합물이 반사 작용으로 떨어지거나 혹은 손가락이 타고 난 후라야 그것이 떨어진다면, 이교도들은 황제에게 적절한 존경이 표현된 것으로 인해 기뻐했을 것이다.(12) 

기독교인들은 또한 다른 로마 신들에게도 한 줌의 향을 드리도록 요구되었다. “각각의 요일에 해당하는 행성들에게 기도하는 것은 하늘의 천체들에 대한 예배의 일부였다.”(13) 일부 현대 신학자들은 인정한다, “그렇다, 일곱째 날 안식일이 성경적 날짜 계산법에 의해 계산될 때, 그것의 날짜는 변동된다; 그러나 하나님이 우리에게 요구하시는 모든 것은 일곱째 날 안식일을 사회가 사용하고 있는 달력에 맞춰 지키라는 것이다.” 이러한 신념은 진정으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전혀 모르고 있음을 나타낸다. 일곱 개의 점성술 신들로 이루어진 행성 주간 제도는 사도 시대의 기독교인들에 의해 명백하게 마귀적 예배와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성경은 이교의 의식들이 마귀 숭배에 불과하다는 점에 대해 단호하다: “그러나 내가 말하건대 이방인들 [이교도들] 은 자기들이 희생물로 드리는 것들을 야후와께 희생물로 드리지 아니하고 마귀들에게 드리나니 나는 너희가 마귀들과 교제하는 것을 원치 아니하노라.”(14)

위의 동판화(15) Tortures and Torments of Christian Martyrs 에서 발견된 것으로, 한 줌의 불타는 석탄을 잡고 있도록 강요 당하고 있는 한 순교자의 모습을 보여준다.(16) 그 설명에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타고 있는 석탄과 섞인 향으로 인해 순교자의 손이 고통을 당하고, 그 향을 뿌리는 고통을 강요 당하고 있는 사람은 우상에게 제사를 드리라는 요구를 받는다.” 등분 빗장을 가진 X 자의 관례적 형태로 된 벼락군은 그 우상이 행성 신, 목성임을 나타낸다.(17)  자신의 생명을 구하고자 하는, 가짜 기독교인은 그 날의 행성 신에게 한 줌의 향을 드렸을 것이다 – 월령 상에서 일곱째 날 안식일이 토성의 날과 일치했다고 할지라도 그렇게 했을 것이다. 그렇게 하는 것은 토성을 그 날의 “신”으로 인정하는 것이었을 것이다.

날짜 계산 방식은 그것이 이해되어 온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의미를 지닌다. 사람이 예배 드리는 날짜는 어떤 신이 경배 받고 있는 것인지를 밝혀준다. 이교 달력에 의해 예배 드리는 것은 이교 신에게 경배하는 것임을 초기 기독교인들은 잘 알고 있었다. 창조주의 태음태양력 상에서 예배 드림으로써, 그들은 하늘의 엘로아께 그들의 충성을 공표했다.

기독교가 이교 날짜 계산법을 받아들인 것은 하룻밤에 이루어진 일이 아니다. 어떤 기독교인들은 한 가지 사항에 대하여 타협했고, 어떤 이들은 다른 사항에 대하여 타협했다. 어떤 이들은 태음태양력을 엄격하게 고수했지만, 다른 이들은 달 안식일 을 지키면서, 또한 일요일을 인정했다. 심지어 어떤 이들은 토요일과 일요일 둘 다를 지켰고, 어떤 이들은 오직 일요일에만 예배 드렸다. 한 세대에서 이루어진 타협들이 다음 세대에 의하여 조금 더 진전되었다.

배교의 과정에서 모든 단계 마다, 태양 숭배 형태를 채택하는 모든 단계 마다, 일요일 준수 자체와 그 채택에 대하여, 진실한 모든 기독교인들에 의한 저항이 언제나 있어 왔다. 그리스도와 [야후와]의 순전한 말씀의 진리에 신실하게 머물고자 했던 사람들은 계명에 따라 [주]의 안식일을 지켰다. 안식일을 [야후와]의 표징으로 정하는 [야후와]의 말씀에 따른 것이었다. 안식일은 하늘들과 땅의 창조주를 모든 다른 신들과 구별시켜주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람들은 태양 숭배의 모든 형태와 부문에 대하여 저항했다. 다른 이들은, 특별히 동쪽에 있는 자들은, 안식일과 일요일 둘 다를 지킴으로써 타협했다. 그러나 로마의 영향력과 그 교회의 지도권과 로마 주교 제도 아래 있던 서쪽에서는, 일요일만 채택되고 지켜졌다.(18)

날짜 계산법들이 매우 다양했기 때문에, 삶의 모든 영역이 어쩔 수 없이 영향을 받았다. 순결한 교리에 마음을 헌신하지 못한 사람들은 그들의 타협을 변명할 거리를 쉽게 찾아내었다. 가이사랴의 유세비우스가 “일요일”의 이교식 이름을 기독교인들의 구미에 더욱 맞게 만든 첫 기독교 작가라고 학자들은 믿는다. 그는 디에스 솔리스, 일요일에 관해 말한다: “그 날에 우리의 영혼에 의의 태양이 떠올랐다.”(19) 그는 더 나아가 “그리스도의 영광의 얼굴과, 그분의 빛의 날을 바라보는” 것에 관해 기록했다.”(20)

기독교가 이교 날짜 계산법으로 전이된 기록은 묘비들 안에 보존되어 왔다. 한 기독교 명문은 그 글에서 디에스 메르쿠리 (머큐리의 날)에 관해 말하고 있다. 그 묘비의 날짜는 서기 291년 또는 302 년인 것으로 믿어진다.(21)  또 다른 기독교 명문은 로마에서 발견된 것 중 가장 오래된 것들 중 하나로 디에스 베네리스 (비너스의 날)에 관해 언급하고 있다. 이 특별한 명문이 돋보이는 이유는 그 안에 줄리안 날짜와 태음태양력 날짜 둘 다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서기 269년 날짜로, 그것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클라우디우스와 파테르누스의 재임 중에, 십일월 오일에, 비너스의 날에, 월령으로 24일에, 레우체스는 [이 기념비를] 그녀의 가장 사랑하는 딸 세베라와 당신의 성령 옆에 놓았다. 그녀는 55 년, 11 개월 [과] 10 일의 [나이로] 죽었다.(22)

십일월의 “Nones” 는 비너스의 날, 금요일에 해당했던 11월 5일이다. 그 월령 상에서 이 날은 월령의 24일, 그리고 성경적 주간에서 “둘째 날” 에 해당했다.

순수한 사도적 기독 신앙으로부터 이교 날짜 계산법과 뒤얽힌 기독 신앙으로의 이러한 더딘 변형이 오늘날 존재하는 창조주의 참 날짜 계산법에 관한 무지에 대한 주 원인이다. 이교의 연속 주간 싸이클은 역사적으로 멀리 거슬러 올라간다. 연속 주간 싸이클이 언제나 존재해왔다고 추정된다. 줄리안 달력의 역사적 사실들이 잊혀져 왔고 토요일이 성경적 안식일이라는 것을 “입증” 하기 위해 순환 논리가 사용되어 왔다: 즉, 현대 그레고리력의 주간이 연속 순환되는 칠일 주기를 갖고 있음으로 주간은 언제나 연속적으로 순환되어 왔으며, 따라서, 토요일이 넷째 계명의 “일곱째 날 안식일” 임에 틀림 없다는 논리다.

그레고리력 주간의 첫째 날, 일요일에 예배 드리는 카톨릭과 개신교 신자들이, 토요일이 성경상의 일곱째 날 안식일이라는 또 다른 “증거”로 여겨져 왔다. 결국, “만일 토요일이 참 안식일이 아니라면, 왜 사탄이 사람들을 일요일에 예배 드리도록 만들고자 신경 쓰겠는가?” 라는 논리다. 이 두 가지 기만으로 인해 토요일을 안식일로 지키는 사람들은 토요일이 성경적 안식일이라는 그들의 가정을 확신해 왔던 것이다. 그러나, 역사의 사실들은 오류와 전통의 어둠 속에서도 빛을 발하며 현대의 예배일, 일요일과 토요일 둘 다의 기원이 이교도임을 밝혀준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관련 내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R. L. Odom, Sunday in Roman Paganism, (New York: TEACH Services, Inc., 2003), p. 202.

(2) Eviatar Zerubavel, The Seven Day Circl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5), p. 22; Ignatius, Epistle to the Magnesians, (The Ante-Nicene Fathers, Grand Rapids, Michigan: W. B. Eerdmans, 1956, James Donaldson and Alexander Roberts, eds.), Vol. 1, pp. 59-65.

(3) See On the True Doctrine, translated by R. Joseph Hoffman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4) “Celsus the Platonist,”Catholic Encyclopedia, NewAdvent.org.

(5) Odom, op. cit., p. 54.

(6) Origen, Against Celsus, book 6, chapter 22 in The Ante-Nicene Fathers,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13), Vol. 4, p. 583.

(7) Ibid.

(8) Tertullian, Ad Nationes, Book 1, Chapter 13 in J. P. Migne, Patrologiæ Latinæ Cursus Completus, (Paris, 1844-1855), Volume 1, columns 369-372.

(9) 그리스도가 12월 25일에 태어나지 않았지만, 메시아에 대한 현대 기독교의 “공식적” 출생일은 그 날로 남아 있다.

(10) Tertullian, Apologia, chap. 16, in J. P. Migne, Patrologiæ Latinæ, Vol. 1, cols. 369-372; standard English translation in Ante-Nicene Fathers,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13), Vol. 3, p. 31.

(11) For further research, see www.tertullian.org.

(12) Antonio Gallonio, De SS. Martyrum Cruciatibus, 1591.  Published in English: Tortures and Torments of the Christian Martyrs, A. R. Allinson, trans., (London: Fortune Press, 1903), p. 143. 이 책의 목적은 “신실한 자들의 의식 고양”이었으며 로마 카톨릭 교회의 승인과 함께 출판되었다.

(13) Odom, op.cit., p. 158.

(14) 고린도전서 10:20

(15) This illustration was a copper-plate engraving done by Antonio Tempesta of Firenza (Florence) taken after the designs of Giovanni de Guerra of Modena, painter to Pope Sixtus V.

(16) Gallonio, Tortures and Torments of the Christian Martyrs, op.cit., p. 138.

(17) 주피터의 날, dies Jovis, 현대의 목요일에 해당한다.

(18) A. T. Jones, The Two Republics, (Ithaca, Michigan: A. B. Publishing, Inc., n.d.), pp. 320-321.

(19) Eusebius, Commentary on the Psalms, Psalm 91 (Psalm 92 in A.V.), in J. P. Migne, Patrologiæ Græccæ Cursus Completus, (Paris, 1856-1866),  Volume 23, column 1169.

(20) Eusebius, Proof of the Gospel, Book 4, chapter 16, translated by W. J. Ferrar, Vol. 1, p. 207 as quoted in ibid.

(21) E. Diehl, Inscriptiones Latinæ Christianæ Veteres, (Berolini, 1925), Vol. 2, p. 118, #3033.

(22) Ibid., p. 193, #3391.  See also, G. B. de Rossi, Inscriptiones Christianæ Urbis Romæ, Vol. 1, part 1, p. 18, #11.